🔥 7월 초인데 벌써 40도? ‘역대급’ 폭염에 경제까지 휘청
By. JINA
출처 ⓒ 연합뉴스
🌡️ 핵심 요약
-
7월 초부터 낮 기온 40도 육박하는 이례적인 폭염
-
온열질환자 급증, 농수산물 가격도 줄줄이 상승
-
유럽도 동시다발 폭염… 글로벌 경제 성장률 하락 전망
🥵 한반도를 덮친 118년 만의 폭염
벌써부터 한여름처럼 덥죠?
올해 7월 초, 서울은 37.8도를 기록하며 1907년 기상관측 이후 ‘7월 초 최고 기온’을 경신했습니다. 일부 지역(경기 광명·파주 등)에서는 40도 이상을 기록하기도 했고요. 서울의 폭염경보는 나흘째, 열대야는 열흘 넘게 계속되고 있습니다.
🤒 온열질환자도 급증
지난 8일 하루에만 238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고, 누적 사망자는 8명에 달합니다. 특히 논밭, 공사장 같은 야외 작업장에서 사고가 집중됐는데요. 경북 구미시 아파트 공사장에서는 20대 베트남 노동자가 사망하기도 했습니다.
☀️ 왜 이렇게 더운 걸까?
올해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이례적으로 빠르게 확장됐고, 장마가 조기 종료되면서 기온이 급격히 올라갔습니다. 여기에 티베트 고기압까지 겹치며 한반도는 ‘이중 열돔(Double Heat Dome)’에 갇혔죠. 전문가들은 7월 말~8월 초, 더 극한의 폭염이 올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
🧊 바뀐 여름 풍경, 우리 생활은?
🦺 폭염 대응 총력전
경기도는 사상 처음으로 폭염에 ‘비상 2단계’를 발령했습니다. 서울시는 무더위쉼터 냉방기 점검과 함께 탑골공원 등에서 하루 1,000병의 냉수를 무료로 배포 중이고요. 서울·충북 교육청은 단축수업과 조기방학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
⚡ 전력 수요도 역대급
폭염 속 에어컨 가동이 늘며 전력 사용량도 연일 최고치를 경신 중입니다.
-
7월 7일: 최대 전력수요 93.37GW
-
7월 8일: 95.68GW (역대 최고치 갱신)
전력당국은 비상근무 체제로 전환하며 상황에 대비 중입니다.
📝 최대 전력수요란?
하루 중 가장 많은 전기를 사용하는 순간의 전력량을 의미해요. 대개 여름 오후 3시쯤 에어컨·공장·냉장설비가 동시에 가동되는 시간대입니다.
🍉 장바구니 물가도 ‘폭염 쇼크’
상추·시금치 같은 채소는 폭염에 잘 자라지 못해 공급 차질이 생기고, 수요는 폭증하면서 가격이 급등했어요.
-
수박 가격: 평년 대비 30%↑
-
고등어 가격: 평년 대비 73%↑
🔥 히트플레이션(Heatflation)
‘Heat(열)’ + ‘Inflation(물가 상승)’의 합성어. 이상고온으로 인해 농작물 생산이 줄고, 식료품 가격이 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.
🌍 전 세계가 더위에 시름
🇪🇺 유럽도 기록적인 폭염
스페인 남서부는 46도까지 올라갔고, 그리스 아테네는 관광객 안전을 위해 한낮에 아크로폴리스를 폐쇄했습니다.
🌲 산불도 연쇄 발생
-
프랑스 마르세유: 대형 산불로 공항·철도 운행 중단
-
스페인 타라고나 인근: 3천 헥타르 숲 전소
📉 경제 성장률에도 영향
독일 알리안츠는 폭염으로 유럽 경제 성장률이 최대 0.5%P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
세계적으로는 평균 0.6%P 하락 예상.
“32도 이상이 지속되면 노동 생산성도 급감”이라는 분석입니다.
🏦 한국은행, 기준금리 2.50%로 동결
By. AMBER
🔍 핵심 요약
-
한국은행, 기준금리 2.5%로 유지
-
집값 과열, 가계부채 증가, 한미 금리차가 주요 이유
-
미국·일본도 7월 금리 동결 전망
🧊 금리 인하, 잠시 ‘멈춤’
지난 10일,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동결했어요.
작년 10월부터 이어지던 금리 인하 흐름이 일단 중단된 것이죠.
-
작년 10월~올해 5월까지 총 4차례 금리 인하(0.25%P씩)
📊 왜 동결했을까?
🏘️ 집값 과열 우려
-
2023년 1월~2024년 4월: 서울 집값 16% 이상 상승
-
6월 넷째 주: 아파트 매매가 주간 상승률 0.43%
(2018년 9월 이후 최고 수준)
💸 가계부채도 증가
-
6월 가계대출: 전월 대비 6.5조 원 증가(총 1,161조 원)
-
특히 주담대: 한 달 사이 6.2조 원↑
→ 정부는 대출한도를 최대 6억 원으로 제한하는 규제를 발표했죠.
💵 한미 금리차도 고려
-
현재 미국 금리 상단: 5.5%
-
한국과의 금리차: 2%P
→ 미국보다 금리를 더 낮추면 외국 자금이 유출될 수 있어요.
📉 앞으로 금리 어떻게 될까?
🇰🇷 8월엔 금리 인하 가능성
-
내수 부진, 건설 침체, 트럼프발 관세 압력
-
2025년 성장률 전망: 1% 수준
→ 한은은 다양한 지표를 보고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.
🇺🇸 미국 연준도 금리 동결 전망
-
6월 FOMC 의사록: 위원 19명 중 인하 주장 2명
-
물가·노동시장 여건 여전히 견조
🇯🇵 일본도 ‘동결’ 유지 예상
-
금리: 0.50% 수준 유지
-
아베노믹스 종료 후에도 당분간 금리 인상 유보
🧾 이슈 브리핑 모음
📌 내년 최저임금
-
1만 320원 (2.9% 인상)
-
월급 기준: 약 215만 원
-
17년 만에 노사공 합의로 확정
📈 코스피 3,180대 돌파
-
10일 종가: 3,183.23 (연고점 경신)
-
금리 동결 + 외국인 매수세 영향
-
SK하이닉스 +5.69% 급등
🪙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
-
11만 2,055달러 돌파
-
우리기술투자 +3.91%, 관련주 강세
🏘️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둔화
-
7월 첫째 주 상승률: 0.29% (전주 0.40%)
-
강남·송파·서초 등 주요 지역 상승폭 둔화
🤟 엔비디아, 시총 4조 달러 입성
-
장중 기준 세계 최초
-
AI 투자 확대 + 미중 무역 협상 진전 기대감
💳 청년도약계좌 2주년 변화
-
2년 경과 시 납입액 40% 부분 인출 가능
-
800만 원 이상 납입 시 신용점수 최대 10점 가점
이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·저장 부탁드립니다!
좋아요와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😊